PAST EXHIBITION
BEYOND
2024.06.07 ~ 09.17
김보희 개인전 《Beyond》 |
|
---|---|
일시 |
2024-06-07 ~ 2024-09-17 |
장소 |
The Modern Institute, Osborne Street Glasgow |
The natural world emerged as the defining theme and subject for Kim Bohie in the 1990s, having previously also worked across the genres of still life and portraiture. In the early 2000s, Kim set up her studio on the island of Jeju, which lies south of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landscape became her main preoccupation – the ocean, the local floral, her own garden. Notably, there are never people in her quiet, elegant paintings. Her panoramic views and plant studies, depict moments of solitary contemplation. Each one shows a vivid encounter with nature; the golden disk of the moon at twilight framed by a beacon mound near Sanbangsan Mountain, sea water catching the sun in the heat of the day, the striking leaves of Washingtonia palms. The exhibition title situates these scenes – their emphasis on what lies beyond our individual bodies and consciousness and offers a consideration of the unity and order of the natural world.
Her works are about looking and personal connection to place, engaging with ideas around closeness – spiritually and physically – and the way it effects our vision. Kim works on canvas utilising sumi ink and water-based mediums to achieve a range of effects. While Kim’s compositions contain a range of international influences, including, for example, John Constable, they can be understood in the lineage of sansuhwa 산수화, or traditional Korean landscape painting (san meaning mountain, su meaning water) which emphasises communing and engaging with nature, and is influenced by Taoism and Confucianism.
More specifically, her works can be seen as a contemporary re-engagement with jingyeong sansuhwa 진경산수화, translated as ‘true-view landscape painting’. This 18th century approach to painting sought to portray specific classical or in some sense definitive natural sites in Korea. Previously, Korean locations had not been depicted in landscape painting, with artists preferring to follow models from Chinese painting. It is commonly understood today as a style which considers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important places while also considering the layers of cultural and art-historical activity which have previously interacted with them. In this sense, Kim’s paintings seek to engage with both the mystery of nature and the cultural history of Jeju, and to carve out a space of meditation for the viewer.
Kim Bohie (b. 1952, Seoul) lives and works in Jeju, Korea. Kim was a professor of Korean Painting at Ewha Womans University from 1993-2017 and was a Museum Director at Ewha Womans University Museum from 2008-2010. She is now an emeritus professor at the same institution. Kim’s work has been included in numerous solo and group exhibitions in Korea and internationally. Selected solo exhibitions include: ‘the Days’, Jeju Museum of Contemporary Art, Jeju; ‘Towards’, CAN Foundation, Seoul (2021); and ‘Towards’, Kumho Museum of Art, Seoul (2020). Selected group exhibitions include: ‘Indexing the Nature: From Near and Far Away’, Gallery Baton at No.9 Cork Street, London (2022); ‘Mountains, Rivers, and People: Eight Views and a Nine-Bend Streams of Gyeonggi’,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Ansan (2015); ‘Garden’,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MMCA), Seoul (2014); and ‘A Form of Thinking – Rediscovery of Drawing’, Museum SAN, Wonju (2014). Her work is held in many public and private collections, including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MMCA), Seoul, Seoul Museum of Art, and Hyundai Arts Center, Ulsan.
자연은 정물화와 인물화 등 장르를 넘나들며 작업해온 김보희에게 1990년대를 대표하는 주제이자 소재로 떠올랐습니다. 2000년대 초반, 작가는 제주도에 작업실을 세웠고, 바다, 지역 꽃, 자신의 정원 등 그곳의 풍경에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잔잔하고 우아한 작가의 작업 속에 인물은 등장하지 않습니다. 작가는 탁 트인 전망과 식물의 묘사를 통해 고독한 사색의 순간을 묘사합니다. 산방산 근처 봉화대에 둘러싸인 황혼의 황금빛 달, 한낮의 더위에 햇빛을 받는 바닷물, 눈부신 워싱턴야자 잎과 같은 각각의 작품들은 자연을 마주하였을 떄의 생생한 감흥을 전달합니다. 전시 제목은 개인의 신체와 의식 너머에 있는 것에 대한 강조와 자연이 지닌 질서와 경외 등 자연을 바라보는 인간의 심리적, 상황적 풍경을 함께 포괄하고 있습니다.
작가의 작업은 친밀감이라는 감각을 통해 어떠한 장소를 바라보았을 때 느껴지는 영적이거나 물리적인 연결성, 그리고 이것 우리의 비전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수묵과 수성 매체를 활용하여 캔버스에 작업하여 다양한 효과를 얻습니다. 작가의 작품에는 존 컨스터블(John Constable) 등을 비롯한 국제적인 화풍 또한 발견되지만, 이러한 경향성 또한 도교와 유교에서 영향을 받은 자연과의 교감과 참여를 강조하는 한국 전통 산수화(산은 산을 의미하고 수는 물을 의미함)의 계보 안에서 함께 이해할 수 있습니다.
부연하자면, 김보희의 작품은 진경산수화의 현대적 해석으로 볼 수 있는데, 회화에 대한 이러한 18세기적 접근 방식은 고전적이거나 한편으로는 특정한 한국의 자연의 풍경을 묘사하기 위한 시도입니다. 이전까지 산수화는 보통 한국의 지형을 그리기 보다는 중국 회화 속 풍경을 묘사해 왔습니다. 이를 통해 장소가 가지고 있는 역사나 의미 등과 같은 이야기를 내포하는 동시에 당시의 문화 예술사적 내용을 포괄하기 위한 형태로 받아들여집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김보희 작가의 그림은 자연의 신비와 제주의 문화사를 함께 다루며 관람자를 위한 명상의 공간을 만들고자 하는 산수화의 현대적인 해석이라 볼 수 있습니다.
김보희(b. 1952, 서울) 작가는 한국 제주도에 거주하며 작업하고 있습니다. 1993년부터 2017년까지 이화여자대학교 한국화과 교수로 재직했고,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관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같은 대학의 명예교수입니다. 그의 작품은 국내외 다수의 개인전과 그룹전에 참여하였으며, 대표 개인전으로는 《the Days》, 제주현대미술관, 제주(2022), 《Towards》 캔 파운데이션, 서울(2021), 《Towards》, 금호미술관, 서울(2020) 등이 있으며, 대표 그룹전으로 《인덱싱 더 네이처: 가까운 곳 또는 먼 곳으로부터》 No.9 코크 스트리트, 런던 (2022); 《경기팔경과 구곡:산·강·사람》, 경기도미술관, 안산(2015); 《정원》 국립현대미술관, 서울(2014), 《사고의 형태 - 드로잉의 재발견》, 뮤지엄산, 원주(2014) 등이 있다. 작가의 작품은 국립현대미술관(MMCA), 서울시립미술관, 울산 현대예술관 등 다수의 공립 및 사립 컬렉션에 소장되어 있다.